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매년 8월, 고지서가 도착하는 ‘주민세 개인분’. 하지만 누가 내야 하는지, 언제 내는지 잘 모르고 지나치기 쉽습니다.

    2025년 주민세 납부 대상자와 면제 조건, 고지서 발송 일정, 정확한 납부 방법까지 이번 글에서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

    목차

    1. 주민세 개인분이란?

    주민세 개인분은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행정 서비스를 위해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과세 기준일은 매년 7월 1일, 고지서 발송은 8월 초, 납부 기간은 8월 16일부터 말일까지입니다.

    금액은 지역별로 다르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

    • 시·군 지역: 10,000원
    • 광역시: 11,000원
    • 서울특별시: 12,500원

    ---

    2. 2025년 주민세 납부 대상은?

    세대주로 등록된 만 30세 이상 시민이 기본 납세 대상입니다.
    단순히 나이나 국적이 아닌, 세대 구성, 혼인 여부, 가족관계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꼭 등본 확인이 필요합니다.

    ---

    3. 주민세 면제 조건 총정리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2025년 주민세는 면제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대상)
    • 외국인 등록 후 1년 미만
    • 미성년자 (단, 세대 구성 조건에 따라 과세 가능)
    • 세대주가 아닌 세대원
    • 주소지가 같은 외국인 가족
    • 미혼 30세 미만 직계비속 단독 세대주 (자취생 등)

    예시: 29세 미혼 자취생이 부모의 자녀일 경우, 세대주라도 면제 대상일 수 있습니다.

    ---

    4. 2025년 주민세 납부 일정

    고지서 발송: 2025년 8월 초
    납부 기간: 2025년 8월 16일 ~ 8월 31일
    주의: 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

    5. 주민세 납부 방법 4가지

    주민세 납부는 매우 간편합니다. 아래 중 편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1. 은행 창구 납부: 고지서 지참 후 방문
    2. 가상계좌 이체: 고지서에 안내된 계좌번호로 송금
    3. 위택스/이택스: 위택스 바로가기
    4. 간편결제앱: 토스, 카카오페이 알림으로 간편 납부

    ---

    6. 납부 대상인지 헷갈린다면?

    가장 간단한 방법은 주민등록등본 확인입니다.
    내가 세대주인지, 세대원인지’를 확인하고, 미성년자·기초수급자 조건을 대조해보세요.

    마무리 TIP

    2025년 주민세는 단순한 세금이지만, 면제 대상 여부납부 시기를 잘 모르면 괜히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등본 확인 → 세대주 여부 체크 → 납부 or 면제 여부 판단!
    8월 16일~31일 사이, 납부 안 하면 가산세!

    이번 기회에 주민세 납부 대상 여부 꼭 점검해보세요.

    반응형